2013년 전망 썸네일형 리스트형 [잇:북] 집중분석 2013년의 경제 2013 / 02 / 13 김병권/새사연 부원장 [잇:북] 집중분석 2013년의 경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목 차] 여는 글……………………………………………………………………… 3 (김병권) 세계경제 |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7 (여경훈) 한국경제 | 한국 경제는 어디로 ……………………………………… 19 (정태인) 사회적경제 | 협동조합 확산 예상, 우리사회 대안이 되길…………25 (이수연) 노동 | 고용증가세 둔화, 노동시장문제 계속…………………………36 (김수현) 가계부채 | 2013년 가계부채 위험을 어떻게 대처할까…………… 51 (김병권) 부동산 | 부동산 시장 살리기에 앞서 주거복지 진전을…………… 61 (진남영) 경제민주화 | 박근혜 정부.. 더보기 새사연 2013년전망(5) 사회적경제: 협동조합 확산 예상, 우리사회 대안이 되길 2013 / 01 / 16 이수연/새사연 연구원 협동조합 확산 예상, 우리사회 대안이 되길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 목 차 ] 1. 외환위기 이후 2012년까지, 정부 주도의 사회적 경제 육성 2. 2013년, 다양한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경제의 확산 기대 3. 신자유주의의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 필요 [ 본 문 ] 사회적 경제는 불과 삼사년 전만 해도 일부 전문가들 외에게는 낯선 단어였다. 이제는 제법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한 해의 시작에서 우리경제를 전망하면서 고려해야 할 요인이 되었다. 사회적 기업, 마을 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의 실체가 하나둘 우리 눈에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새로운 실체들에 거는 사람들의 기대가 적지 .. 더보기 새사연 2013년전망(4) 노동시장: 계속되는 노동시장 문제들 2013 / 01 / 14 김수현/새사연 연구원 2013년, 계속되는 노동시장 문제들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 목 차 ] 1. 2012년 노동시장 평가 2. 2013년 노동시장 전망 3. 계속되는 노동시장문제들 4. 양질의 일자리 중심으로 노동시장정책 전환 [ 본 문 ] 1. 2012년 노동시장 평가 지난 2012년은 취업자 수 증가 측면에서는 2011년 이상으로 노동시장의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 시기로 볼 수 있다. 고용지표 상으로 2011년은 2008년 말의 금융위기 이후 나빠졌던 고용상황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을 보인 시기로 평가된다. 금융위기 직후 1%p 이상 하락했던 고용률은 다시 59% 수준을 회복하였고,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0만 명 이상이 증가했다. 이는 기.. 더보기 새사연 2013년전망(3) 국내경제: 한국경제 '국민 행복시대'로 갈수 있나 2013 / 01 / 09 정태인/새사연 원장 2013년, 한국경제 '국민 행복시대'로 갈 수 있나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 목 차 ] 1. 2012년 빗나간 전망 2. 2013년 전망 3. '국민 행복시대'를 만드는 법 [ 본 문 ] 1. 2012년 빗나간 예측 12월 19일 박근혜씨가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내년 2월이면 박근혜 정부가 출범된다. 과연 그의 구호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올바른 경제예측에 근거한 정책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물론 중장기의 구조정책은 1년 단위의 경제전망과 거의 무관하게 구상할 수 있지만 1년 단위의 재정이나 고용, 환율과 이자율과 같은 거시변수는 직접 영향을 받는다. 과연 우리 정부의 예측 능력은 어떠.. 더보기 새사연 2013년전망(2) 세계경제: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 2013 / 01 / 07 여경훈/새사연 연구원 2013년,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 목 차 ] 1. 저성장의 덫에 빠진 선진국경제 2. 세계경제 3대 리스크 3. 국내외 경기 동향 및 경제정책 방향 [ 본 문 ] 1. 저성장의 덫에 빠진 선진국경제 1) 작년보다 소폭 개선된 성장률 전망 - 작년 세계경제는 주요 해외경제기관의 1년 전 예측보다 0.5~0.7%p 하락함. 이는 2011년 말부터 심화되어 상반기까지 지속된 유로지역 금융위기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경제의 낮은 성장률에서 주로 비롯됨. 반면 미국경제는 예상보다 0.5%p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2013년 세계경제 전망을 보면, IMF(3.6%), OECD(3.4%), UN(2.4..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