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고용보험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위기 2라운드 중간점검③] '고용빙하기'의 암울한 그림자가 드리워진 대한민국 2009년 고용 진단 및 전망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1. 신규 취업자 동향 1) 최근 고용 동향의 구조적 특징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고용지표는 실업률이 아니라, ‘신규 취업자수’다. 실업률이 현실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는 측면, 즉 고용률은 낮은 수준인데 인구가 한 해에 50만 명 가까이 늘어나고 있는 측면 때문이다.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파악하는 실업률과 고용률보다 지난해와의 비교로 파악되는 신규 취업자 수가 변화를 파악하기에 보다 용이하다. 최근 고용 악화의 추이는 지난 2007년 하반기부터 시작되었다고 분석된다. 당시는 한국의 수출과 경제가 호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신규취업자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성장과 고용이 반대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