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기침체

[세계경제] 지뢰밭 속 순항? 새사연은 2008년부터 매 년 진보 정책 연구소 최초로 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경제, 주거, 노동, 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의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를 진단하여 사회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사회로의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2014년 전망 보고서 역시 총 8회에 걸쳐 연재됩니다. 2014년 전망 보고서(1) [세계경제] 지뢰밭 속 순항?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PDF 아이콘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세계경제는 2008년 10월 리만 브라더스 사태 이후 5년째를 맞았지만 아직도 확실히 회복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새사연은 “리셋코리아”(2011)에서 2008년 위기가 “장기침체”로 전환될 거라고 규정했다. 작년 말 서머스, 크루그만, 삭스, 들롱 등 거시경제학자.. 더보기
[경제] 2013년 가을, 도처에 잠재된 글로벌 경제의 위험 요인 2013 / 09 / 11 김병권/새사연 부원장 새사연은 2012년 1월부터 '경제를 보는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에 관해 눈여겨 볼만한 관점이나 주장을 담은 해외 기사, 칼럼, 논문 등을 요약 정리하여 소개했습니다. 2013년부터는 '2013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 외에 사회 분야까지 확장하여 해외의 좋은 주장과 의견들을 소개합니다.(편집자 주) 2008년 가을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한 이래 매년 가을만 되면 글로벌 경제를 둘러싼 위험 요인들이 반복적으로 이슈가 되어왔다. 지난해 미국과 일본, 유럽이 동시에 양적완화를 가속화시켜 경제 침체와 위기 탈출을 시도했던 것 역시 9월이었다. 2011년 가을에는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과 유럽위기의 전방위적 확산에 세계경제 전체가 두려움에 떨어.. 더보기
[잇:북] 세계 경제 장기 침체와 다양한 대안 2013 / 08 / 08 새사연/경제연구센터 [목 차] 여는 글 3 세계 경제 침체에 가려져 놓쳐서는 안 될 문제들 6The Post-Crisis Crises, Joseph E. Stiglitz 루비니 교수가 말하는 2013년 경제의 5대 위험 11The Economic Fundamentals of 2013, Nouriel Roubini 자신의 국민과 싸운 ‘철의 여인’ 대처 16Thatcherism's Bellicose Soul, Robert Skidelsky 맨큐의 1%를 위한 변론21Greg Mankiw and the Gatsby Curve, Paul Krugman 재정 긴축을 놓고 충돌하는 세계 26When Is Government Debt Risky?, J. Bradford DeLongWho'.. 더보기
[잇:북] 집중분석 2013년의 경제 2013 / 02 / 13 김병권/새사연 부원장 [잇:북] 집중분석 2013년의 경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목 차] 여는 글……………………………………………………………………… 3 (김병권) 세계경제 |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7 (여경훈) 한국경제 | 한국 경제는 어디로 ……………………………………… 19 (정태인) 사회적경제 | 협동조합 확산 예상, 우리사회 대안이 되길…………25 (이수연) 노동 | 고용증가세 둔화, 노동시장문제 계속…………………………36 (김수현) 가계부채 | 2013년 가계부채 위험을 어떻게 대처할까…………… 51 (김병권) 부동산 | 부동산 시장 살리기에 앞서 주거복지 진전을…………… 61 (진남영) 경제민주화 | 박근혜 정부.. 더보기
새사연 2013년전망(2) 세계경제: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 2013 / 01 / 07 여경훈/새사연 연구원 2013년, 피할 수 없는 세계경제 장기침체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누르면 됩니다. [ 목 차 ] 1. 저성장의 덫에 빠진 선진국경제 2. 세계경제 3대 리스크 3. 국내외 경기 동향 및 경제정책 방향 [ 본 문 ] 1. 저성장의 덫에 빠진 선진국경제 1) 작년보다 소폭 개선된 성장률 전망 - 작년 세계경제는 주요 해외경제기관의 1년 전 예측보다 0.5~0.7%p 하락함. 이는 2011년 말부터 심화되어 상반기까지 지속된 유로지역 금융위기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경제의 낮은 성장률에서 주로 비롯됨. 반면 미국경제는 예상보다 0.5%p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 2013년 세계경제 전망을 보면, IMF(3.6%), OECD(3.4%), UN(2.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