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쌍용차

[자동차 산업의 위기 이슈5 ③] 자동차 산업의 ‘먹튀 자본’과 산업은행 [자동차 산업의 위기 이슈5 ③] 자동차 산업의 '먹튀 자본'과 산업은행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들어가며 이 글에서는 쌍용자동차 위기의 교훈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 전편에서 쌍용자동차의 국유화, 정확히는 공적자금 투입을 말미에 잠시 언급한 바 있다. 이번에는 쌍용자동차 위기의 원인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 전편에 제시된 주장의 근거를 살펴보려고 한다. 현재 한국자동차 산업의 불안정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가 쌍용자동차이다. 쌍용자동차는 7월 8일 현재 노동조합의 ‘옥쇄파업’이 48일째로 접어들고 있으나 노사와 관계자들 간에 한 치의 의견 접근도 이루지 못한 채, 사태는 더욱 급박한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구조조정의 태.. 더보기
[자동차 산업의 위기 이슈5 ②] 구조조정과 세계 각국의 대응전략 [자동차 산업의 위기 이슈5 ②] 구조조정과 세계 각국의 대응전략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들어가며 전편에서는 GM의 파산문제를 중심으로 세계 자동차 산업이 구조조정의 중심에 서게 된 원인을 살펴보았다. 물론 GM이 업계 구조조정의 중심에 서있다고 다른 기업들이 괜찮은 것은 아니다.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2009년 들어 세계적으로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였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자동차 기업들이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미국 GM의 구조조정 계획과 맞물려 독일,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등 GM의 자회사들이 있는 나라들에서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GM과 상관없이 프랑스, 영국, 일본에서도 여.. 더보기
[자동차 산업의 위기 이슈5 ①] 신자유주의 붕괴의 상징, 'GM의 몰락' [자동차산업의 위기 이슈5①] 세계 자동차 산업 위기의 원인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GM대우의 유동성 위기가 한 숨 돌린 듯 싶더니, 쌍용자동차의 구조조정이 극한 대립으로 치닫고 있다. 전 세계가 경제위기 국면에 돌입했을 때에도 영업실적 면에서는 선전한 ‘정상 기업’은 왜 위기에 빠지게 되었는가? 그리고 우리는 이 위기를 겪으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국내 자동차 업계를 독점하고 있는 현대/기아가 세계 시장의 점유율을 조금 높였다고 해서, 마치 한국 자동차 산업을 장밋빛으로 호도하는 것은 맞지 않다. 오히려 현대/기아그룹의 독점적 지위가 높아질 경우 한국 자동차 산업 전체가 더 취약한 구조에 빠질 위험성마저 높다. 독점은 시장에.. 더보기
구조조정만이 경제위기의 해법인가... 현 구조조정의 세 가지 문제 2009년 2월, 미국 상업은행 부실 확대와 동유럽 국가의 대외채무 누적으로 2차 글로벌 금융위기가 올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자, 미국 연방정부가 서둘러 19개 주요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2개월 이상 끌어온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금융시장을 진정시킬 수준으로 적절하게(?) 수위 조절해 5월 7일 발표했다. 그 결과 글로벌 금융시장은 부실의 실체를 덮어둔 채 현재 소강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이른바 자유낙하를 거듭해오던 금융위기가 잠복 국면으로 전환된 2라운드로 접어든 것이다. 그러나 각 국가의 대규모 재정투입과 금융안정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이미 금융 영역을 넘어 전개된 세계경제는 금융위기의 소강상태 진입과 무관하게 실물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미국의 실업률.. 더보기
보호무역 향해 가는 세계, 자동차산업 보호 외면하는 우리 정부 쌍용협력업체 부도와 정부의 무책임한 대응 우려하던 일들이 자고 일어나면 매일 현실로 변하고 있다. 2009년 2월 초 쌍용자동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납품대금이 묶여 자금난에 시달리던 쌍용차 1차 협력업체 융진, 유진에스테크, 유진정공 등 3개 부품사가 결국 며칠 전인 3월 2일에 법정 관리를 신청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3월 말까지 약 7~8개 협력사가 추가로 부도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다시 이들에게 하청을 받아 납품하는 수백 개의 2, 3차 협력업체가 결재대금을 못 받게 돼 연쇄부도 사태로 발전할 수 있다. 현재 2, 3차 협력업체를 포함해 쌍용차에 납품하는 업체는 대략 500~600개에 이른다. 실물경제로 번진 제조업 위기의 확산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