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업자

2012년 7월 고용시장 분석 2012 / 08 / 30 김수현/새사연 연구원 2012년 7월 고용시장 분석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의 제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목 차] 1. 2012년 7월 주요 고용동향 2. 증가하는 중고령 취업자 : 규모, 특성, 고용환경 [본 문] 1. 2012년 7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2년 7월 고용률은 60.3%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2.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 고용지표는 전년동월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금융위기 직후와 비교해 고용지표 개선의 속도는 줄어들었지만 꾸준히 나아지고 있음. 이와 같은 고용의 양적 지표와 함께 고용의 질적 수준에서의 고찰이 필요함 - 남.. 더보기
노동자와 시민의 불행한 삶, 그리고 ‘국민행복’ 2012.08.22김병권/새사연 부원장 앞으로 5년 이상의 의미가 있을 18대 대선이 이제 4개월을 채 남겨 놓지 않았다. 지난 20일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에서 경선결과 대선후보가 확정됐다. 예상했던 대로 대세론을 등에 업고 83.9%라는 압도적인 경선득표를 한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다. 곧이어 제1 야당인 민주통합당의 대선후보 경선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장외의 강력한 후보로 인정받고 있는 안철수 원장의 움직임도 더 빨라질 것이다. 첫 대선후보로 확정된 박근혜 후보는 지난 7월10일 출마선언과 이번의 후보 수락 연설에서 공통적으로 ‘국민행복’을 강조했다. “지금은 국가의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의 고리가 끊어졌기” 때문에 국가의 성장과 국민의 행복이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액면 그대로 주.. 더보기
2012년 5월 고용시장 분석 2012 / 06 / 21 김수현/새사연 연구원 2012년 5월 고용시장 분석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 제목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목 차] 1. 2012년 5월 주요 고용동향 2. 고졸 청년층 고용문제 [본 문] 1. 2012년 5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2년 5월 고용률은 60.5%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 - 실업률은 3.1%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2.5%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 - 전년동월에 비해 고용지표는 개선됨. 수치상의 고용지표로 보았을 때 2009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남. 금융위기 이전인 2008년 동월보다 고용률이 더 높음 - 남성과 여성 모두 전년동월대비 고용률이 상승함. 남성은 7.. 더보기
2012년 3월 고용시장 분석 2012 / 04 / 16 김수현/새사연 연구원 2012년 3월 고용시장 분석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 제목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목 차] 1. 2012년 3월 주요 고용동향 2. 지역별 고용시장 분석 [본 문] 1. 2012년 3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2년 3월 고용률은 58.6%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 실업률은 3.7%로 전년동월대비 0.6%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은 60.9%로 전년동월과 동일 - 고용지표로 보았을 때 전년동월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실업률은 하락했고 고용률은 상승 - 남성과 여성 모두 전년동월대비 고용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연령대 별로 보면, 15세~19세, 3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고용률이 상승함 - 이러한.. 더보기
비정규직 노동자 831만명, 최저임금 미만 임금근로자 204만명 2011 / 06 / 15 김수현/새사연 연구원 2011년 5월 고용시장 분석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 보고서 제목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2011년 5월 고용시장 분석 : 월간 고용시장 모니터 [목 차] 1. 2011년 5월 주요 고용동향 2. 비정규직 노동자 3. 최저임금 미만을 받는 노동자들 [본 문] 1. 2011년 5월 주요 고용동향 □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2011년 5월 고용률은 60.1%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 실업률은 3.2%로 전년동월과 동일 - 경제활동참가율은 62.1%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 전체적인 고용상황은 전년동월대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고용률은 전년에 이어 올해 역시 60% 이상을 달성. 2009년 경제위기 이후 계속해서 고용률이 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