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7 전망보고서 (4) 세계경제: 2017년 세계경제, “공포의 해”가 될 것인가? 송종운/ 새사연 연구 위원 새사연은 2008년부터 매 년 진보 정책 연구소 최초로 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경제, 주거, 노동, 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의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를 진단하여 사회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사회로의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665년 런던은 흑사병으로 5만 명 이상의 시민을 잃었다. 이듬해 1666년에는 런던 대화재가 일어나 엄청난 대혼란이 뒤따랐다. 이 시기 아이작 뉴튼은 고향으로 돌아가 자연과학의 위대한 기초를 세운다. 사람들은 이 시기를 “기적의 해(Annus Mirabilis)”라고 부르며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 “기적의 해”는 시인 존 드라이든이 학사병과 런던 대화재, 네덜란드와의 전쟁과 같은 고난을 극복한 영국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이다. 2017.. 더보기 [새사연 확!新!광장 Vol.9_세계경제] 브렉시트, 그 너머의 유럽경제 전 세계를 놀라움으로 이끈 영국의 EU 탈퇴, 브렉시트(Brexit)! 그 영향력은 어디까지이고, 유럽연합은 어떻게 될 것이며, 세계경제와 아시아경제 그리고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요?새롭게 새사연 이사로 합류한 정승일 박사가 유럽연합과 브렉시트의 관계를, 국제금융을 전공한 송종운 박사가 영국자본과 세계경제, 나아가 아시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말합니다. 이번 강좌는 열린 확신광장으로 무료로 진행되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꼭! 신청을 해 주시길 바라며 많은 관심 및 참석 부탁 드립니다. 구성: 1. 유럽 연합과 브렉시트 (정승일 새사연 이사, 정치경제학 박사) 2. 영국자본의 이동과 세계 경제 (송종운 새사연 자문위원, 경제학 박사) 3. 질의 응답일시: 2016년 7월 21일 (목) 저녁 7시장.. 더보기 약 엔, 강 위안, ‘슈퍼 달러’의 시대 도래? 2015/01/12 박형준/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새사연은 2008년부터 매 년 진보 정책 연구소 최초로 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경제, 주거, 노동, 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의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화를 진단하여 사회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사회로의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2015년 전망 보고서 역시 총 8회에 걸쳐 연재됩니다. (편집자 주) 들어가며2008년 하반기 리먼브라더스의 파산과 AIG의 파산 위기를 계기로 전 세계를 엄습했던 글로벌 패닉이 발생한지 만 6년이 지났다. 공황의 상태는 벗어났지만, 세계경제는 여전히 활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으며, 새로운 방향성을 찾지도 못하고 있다. 신자유주의 체제는 2008년 위기를 계기로 ‘사망선고’가 내려지긴 했지만,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더보기 [경제] 지뢰밭 속의 순항? 2014년 경제 전망 2013 / 11 / 04 정태인/새사연 원장 [ 목 차 ]1. 세계 경제는 3개의 지뢰를 비켜갈 수 있을까? : 2014년 세계 경제 전망2. 경제성장률은 몇 %일까? : 2014년 한국 경제 전망3. 지뢰는 미리 제거하고, 튼튼한 경제를 위한 정책적 제언 세계경제는 2008년 10월, 리만 브라더스 사태 이후 5년째를 맞았지만 아직도 확실히 회복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2000년대 전반기의 호황과 비교한다면 여전히 “장기침체”라고 말하는 게 온당할지도 모른다. 더구나 뒤에서 보듯이 2008년 위기의 중요한 원인들은 거의 제거되지 않았고 위기를 막기 위해 취했던 ‘비전통적’ 정책들을 부드럽게 거둬들일 방법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현재 안고 있는 시한폭탄, 또는 미해결의 과제들이.. 더보기 Helicopter Money: 선진국 양적완화정책 평가 2013 / 02 / 18 여경훈/새사연 연구원 2013 세계의 시선(8) Helicopter Money: 선진국 양적완화정책 평가 위의 제목을 누르시면 파일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새사연은 2012년 1월부터 '경제를 보는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에 관해 눈여겨 볼만한 관점이나 주장을 담은 해외 기사, 칼럼, 논문 등을 요약 정리하여 소개했습니다. 2013년부터는 '2013 세계의 시선'이라는 이름으로, 경제 외에 사회 분야까지 확장하여 해외의 좋은 주장과 의견들을 소개합니다.(편집자 주) [ 목 차 ] 1. 저자와 보고서에 대한 간단한 소개 2. 보고서의 주요 내용 3. 보고서의 시사점 [ 본 문 ] 1. 저자와 보고서에 대한 간단한 소개 - 이 보고서 저자의 한 사람인 맥컬리(McCulle..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