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학교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집] 사회적경제학교 2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새사연(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원장 정태인)은 신뢰와 협동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경제 연속 강좌를 진행합니다. 본 강좌는 기존의 주류경제학이 가정했던 이기적 인간관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함께 희망을 모색하는 배움의 장을 열고자 합니다. 사회적 경제 분야의 핵심 현안을 꿰뚫는 강좌와 토론을 통해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더하고, 새로운 관점과 시각에서 교류하는 배움의 공동체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새사연 사회적경제학교는 지난 5월 제1기를 시작으로 매년 2회 열리고 있는 사회적경제 연속 강좌이며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철학을 소개하고 활발한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새사연 사회적경제학교 제1기 수업 후기 보러가기1강 : http://sisun.tistory.co.. 더보기 [후기] 새사연 사회적 경제 학교 제1기, 2강 사회적 딜레마의 해결과 협동의 조건 6월입니다!!! 6월의 첫날 토요일에도 우리는 사회적 경제를 공부하기 위해서 모였습니다!! 새사연 사회적 경제 학교 둘째날 모습을 공개합니다~ 지난주 첫 시간에 아쉽게도 못 오셨던 분들이 이번에는 참석해주셔서 총 48분이 참석해주셨습니다. 지난주에 조별로 인사를 나누었던터라 다들 어색하지 않게 서로서로 인사도 나누고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이 참 좋아보였답니다. 1교시는 경험, 미래, 꿈이라고 해서 우리 수강생분들 중에 사회적 경제 분야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으시거나 앞으로의 활동 계획이 있으신 분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날은 두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는데요, 비영리IT지원센터에서 일하시는 정우성님과 사회적 경제 조직을 위한 인터넷 플랫폼을 구상하고 계시는 정화영님의 이야기를 들어보았.. 더보기 [후기] 새사연 사회적 경제 학교 제1기, 6강 사회적 경제와 경제민주화, 보편적 복지 지난주 토요일 드디어 새사연 사회적 경제 학교 1기가 막을 내렸습니다. 5월 25일부터 6월 29일까지 6주간 매주 토요일 2시부터 6시까지의 소중한 시간을 내어 함께 공부했던 51명의 수강생 여러분께 감사와 축하의 인사를 보냅니다. 우선 이날도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라는 이름으로 새사연의 이은경 연구원이 복지국가와 사회적 경제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의해주었고, 새사연의 정태인 원장도 복지국가, 경제민주화, 생태문제 등 우리사회 전반의 문제들에 대해 강의해주셨습니다. 그동안 배웠던 사회적 경제 강의의 대단원답게 큰 시야에서 사회적 경제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한국사회에 사회적 경제가 자리잡게 한다는 것은 결국 새로운 사회운영 원리를 도입한다는 것이기에 한국사회 전체를 어떻게 새판으.. 더보기 [후기] 새사연 사회적 경제 학교 제4강 벌써 4강이 지났네요. 이제 두 번의 강의가 남았는데요, 내용을 잘 정리하셔서 남은 수업까지 많이 얻어가시길 빕니다:)그리고 부교재 읽고 계시죠?^^ 과제 제출일은 이번 주 토요일입니다. 여러분들의 글을 기대하고 있을게요! 지난 토요일은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시는 두 분을 모시고 경험 나누기를 진행했습니다.에코시티서울에서 일하시는 이성원님, 착한여행에서 일하시는 김영지님이 일하시는 곳에 대한 소개, 어려움, 보람 등을 말씀해주셨습니다. 김영지님은 무려 ppt를 준비하셨는데 놓고오셨대요 ㅠ_ㅠ 카페에 올려주시면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을 거에요! 에코시티서울의 이성원님 (http://www.srcenter.kr) 착한여행의 김영지님 (http://goodtravel.kr) 제4강은 사회적 경제의 필수 조건을.. 더보기 [후기] 새사연 사회적 경제학교 제3강 후기 "신뢰와 사회적 자본" 사회적 경제 학교 제3강은 KBS 스페셜의 3부를 보면서 시작했습니다. 새사연에서 이 DVD를 갖고 있으니 대여하시고 싶은 분들은 말씀해주세요. 그리고 KBS 홈페이지에 가서 로그인만 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시간 정도 다큐멘터리를 시청 후 정태인 새사연 원장의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주 주제는 이었습니다. 사회적 경제뿐만 아니라 앞으로 대안 경제 체제의 필수 조건인 신뢰와 사회적 자본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해보았습니다. 다큐멘터리에 나온 신뢰게임을 설명하는 것부터 시작되었습니다.신뢰게임에 대한 소개 여상은 여기로 ▶▶http://goo.gl/aG6CR신뢰게임과 최후통첩게임, 독재자게임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면서 우리는 인간이 “불평등을 기피”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 첫 강의부터 3강까지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