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숫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분노의숫자] 트레일러 안녕하시냐고 물어보기가 무색한 요즘, 잘 지내시는지요?국가가 숨기는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 "분노의숫자" 책이 오랜 산고 끝에 나왔습니다. '세 살 불평등, 여든까지' 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한국사회 불평등에 관한 총체적인 보고서 입니다. '설마? 정말이야?' 라고 생각하다가도 책 곳곳에 있는 숫자들이 우리의 자화상 같아다 읽고 나면 슬픔이 밀려오기도 하지만, 그만큼 2014 대한민국을 정확히 바라보는 '개안'을 선사해주기도 합니다. 오늘보다 나은 대한민국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구매가능한 곳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2977128 더보기 [분노의숫자] 저축한 돈으로 집 사는 데에 걸리는 시간 27년 새사연은 지난 해 '한국사회 분노의 숫자'라는 타이틀로 우리사회의 불평등과 불공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획 연재를 진행했습니다. 1년이 지난 현재 우리사회의 불평등은 더욱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최근에는 불평등에 대한 감수성이 '갑과 을'이라 문구를 통해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새사연은 2013년 7월부터 "분노의 숫자 시즌2"라는 제목으로 우리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편집자 주) ▶ 용어해설 “연간 흑자액을 기준으로 한 주택구매력 지수”는 연간 흑자액 대비 주택가격비율(주택가격/연간 흑자액)이다. 연간 흑자액은 한 가계의 연간 소득에서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금액으로, 저축이나 자산 구입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의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연간.. 더보기 [분노의숫자] 10명 중 3명만 신뢰하는 불신사회, 대한민국 ▶ 용어해설 세계가치조사의 일반신뢰지수 신뢰(trust)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상대방이 공동체의 보편적 규범을 따라 협동할 것이라는 믿음이다. (『협동의 경제학』, 정태인 외, 2013) 신뢰는 일반신뢰(general trust)와 특수신뢰(particularized trust)로 나누어진다. 일반신뢰는 무작위 대중에 대한 신뢰를 말하며, 특수신뢰는 가족과 친구 등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신뢰를 말한다. 세계의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네트워크인 세계가치조사협회(World Value Survey Association)는 1981년부터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 Survey)를 실시하고 있다. 세계가치조사는 세계의 50여 개 국가에서 240여 개의 질문이 담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세계인들의 가치.. 더보기 [분노의숫자] 건전성 취약한 제2금융권 가계대출 비중 49.1% 2013 / 07 / 23 여경훈/새사연 연구원새사연은 지난 해 '한국사회 분노의 숫자'라는 타이틀로 우리사회의 불평등과 불공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획 연재를 진행했습니다. 1년이 지난 현재 우리사회의 불평등은 더욱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최근에는 불평등에 대한 감수성이 '갑과 을'이라 문구를 통해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새사연은 2013년 7월부터 "분노의 숫자 시즌2"라는 제목으로 우리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편집자 주) ▶ 용어 해설 제2금융권 가계대출 비중 전체 가계대출에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 신협,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과 기타금융기관(보험사, 카드사, 할부사, 증권사, 대부업 등)의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 예대마진(%): 대출.. 더보기 [분노의숫자] 한국경제 시한폭탄 가계부채 비율, DSR 새사연은 지난 해 '한국사회 분노의 숫자'라는 타이틀로 우리사회의 불평등과 불공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획 연재를 진행했습니다. 1년이 지난 현재 우리사회의 불평등은 더욱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최근에는 불평등에 대한 감수성이 '갑과 을'이라 문구를 통해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새사연은 2013년 7월부터 "분노의 숫자 시즌2"라는 제목으로 우리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편집자 주) ▶ 용어 해설 가계 원리금상환 부담률(Household Debt Service Ratio; DSR): 가계 원리금 상환액/가처분 소득. 가계부채의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흔히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총액의 비율을 활용한다. 그러나 실제 가계의 실질적 채무 상환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