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3분기 경제성장률 3.5%를 반길 수만은 없는 이유 미국의 3분기 잠정 GDP성장률 전 분기 대비 큰 폭 상승 미국의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대비 무려 3.5퍼센트나 상승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유럽과 북미의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 전 세계가 이를 반기는 분위기다. 전 세계를 휩쓴 금융위기의 진원지이자 실물경제 침체를 이끌었던 나라가 미국임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이번 발표를 미국과 나아가 세계 경제가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이번에 발표된 경제성장률 3.5퍼센트가 어떻게 산출되었는지 알아보자. GDP성장률[3.5] = 가계소비[2.36] + 민간부문 투자[1.22] + 정부소비[0.48] + (수출 - 수입)[-0.53] 각 부문별 성장률(전분.. 더보기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필요성 논란... 1천조 원 쏟아붓고도 부족한가?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필요성 논란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보고서 요약] 최근 미국에서는 우리나라 돈으로 환산하여 1,000조 원(7,870억 달러) 가량을 투입하기로 한 경기부양책이 별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2차 경기부양책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세계 최고의 부자로 손꼽히는 워렌 버핏과 조지프 바이든 부통령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추가 경기부양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고,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높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은 경기부양에 나서지 않으면 1930년대 대공황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추가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의견이 오바마 .. 더보기 미 고용시장은 공황수준... 끝모를 침체의 늪에 빠진 미국경제 3월 고용동향을 통해 본 미국경제 현황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금융부실의 끝은 어디인가? 영국의 Times(4/7) 보도에 따르면, IMF는 4월 말(21일)에 발표하는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1월에 발표한 미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추정치를 2.2조 달러에서 3.1조 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1년 사이에 무려 세 배나 추정치를 늘린 것이다. 또한 유럽에서 발생한 금융 손실 0.9조 달러를 합하면 총 4조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의 루비니 교수가 내년 중반까지 부실자산이 3.6조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거의 비슷한 추정치를 IMF가 인정한 셈이다. 이는 전 세계 은행.. 더보기 [제2의 금융위기 진단①] 오바마 취임과 정치경제위기의 2라운드 진입 오바마 취임과 정치경제위기의 2라운드 진입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saesayon.org에서 로그인 후 PDF파일 다운로드 1월 20일 전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으며 버락 오바마가 미국의 제 44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날 워싱턴에서는 수많은 인파가 모여 그의 취임사를 들으며 희망의 불씨를 마음속에 지폈다. 하지만, ‘냉철한’ 뉴욕의 투자가들은 다우존스의 주가를 4퍼센트 끌어내리며 그가 앞으로 해야 할 일이 그리 만만치 않음을 다시금 일깨워 주었다. 취임식이 다가오면서 미국과 유럽의 상업은행들의 실적악화와 자본손실이 발표되고, 추가 구제금융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제2차 글로벌 금융 쓰나미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던 사람들의 목에 힘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이들의 말이 맞느냐 틀리느냐를 떠나서 1차.. 더보기 [2009 절망과 희망②] 올해 미국경제가 회복될 수 없는 이유, 그리고 향후 세 가지 시나리오 미국경제 회복의 장애요인과 향후 세 가지 시나리오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새사연 사이트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1. 부동산 및 고용 상황 부동산, 고용시장 갈수록 침체 주지하듯, 금융위기를 촉발한 계기는 부동산시장의 버블 붕괴다. 부동산은 주택담보대출, 이를 담보로 발행한 주택저당증권(MBS) 그리고 이를 또 다시 파생시킨 여러 파생채권(CDO, ABCP, CDS 등)의 기초자산이 된다. 또한 부동산은 가계 자산의 32퍼센트를 차지하며 부동산을 담보로 여러 형태의 소비대출이 발생한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가계의 소비 회복을 위해서는 기초자산인 부동산시장의 침체를 극복해야 한다. 현재 주택가격은 20개 대도시를 기준으로 고점대비 23.7퍼센트(25.3퍼센트, 10개 대도시) 하락한 상..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