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교육

자율고 개선방안을 통해 본 그들의 ‘상식’ 2011 / 02 / 17 최민선/새사연 연구원 자율고 개선방안을 통해 본 그들의 ‘상식’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위 보고서 제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목차] 1. 자율고에 내재된 세 개의 폭탄 2. 자율고, 경쟁률 하락의 진짜 이유 3. 제2의 외고가 될 것인가 삼류학교로 남을 것인가 4. 차별 교육 아닌 '수평적 다양성' 교육 실현해야 [본문] “그들이 1년에 1억 원씩 쓰면서 바라는 건 딱 두 가지야. 불평등과 차별. 군림하고 지배할 수 없다면 차라리 철저히 차별 받길 원한다구. 그게 그들의 순리고 상식이야.” 최근 세간의 이목을 끈 드라마 에 나온 대사다. 스스로 ‘사회지도층’을 자임한 남자 주인공(현빈 분)은 백화점의 VVIP룸 고객의 권리를 이렇게 읊는다. 드라마 속 ‘그들’이 원하는 불평등.. 더보기
[한국교육산업 대해부①] 교육산업 규모는 일등, 공공성은 꼴찌 한국 교육산업의 현주소 도표가 포함된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http://saesayon.org에서 PDF파일 다운로드 공교육 담당자들인 교사들은 교육을 경제와는 전혀 다른 영역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현실에서 교육은 국민경제 차원에서 볼 때 엄청난 규모의 종사자와 소비지출이 행해지는 대단히 중요한 산업분야다. 시장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해 봐도 우리나라 교육시장이 단지 공교육 시장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공교육 시장의 규모를 넘어서는 거대한 사교육시장이 존재하고 있고 갈수록 팽창하고 있다. 해외 교육시장에 유학을 보내는 학부모들이 늘어나면서 해외교육시장도 중요한 교육소비시장으로 등장하고 있다. 고용의 측면에서도 교육산업은 160만 명에 가까운 고용인원이 흡수되어 있는 산업영역이다. 이는 우리 산업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