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 04 / 25![]() |
[요약] - 국민 경제 성장률이 6.2%, 수출이 30%이상 늘어났으나 국민들의 체감경기는 나아진 것이 없음. - 정부는 올해 전망치를 5%성장 - 3% 물가상승률에서 4%성장 - 4% 물가상승률로 수정할 것이 예상됨. 특히 농축산물이 14.7%, 석유류 15.3% 인상 등으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압박이 심해지고 있음. 2. 수입물가가 물가 상승을 주도하다. -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각 국가가 금리를 내리고 재정지출을 확대 하면서 유동성 공급이 과잉됨. 국제적 달러가치의 하락으로 석유나 곡물의 불안정한 공급이 수입물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데 국내 물가는 이 지점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음. 3. 수입물가 상승은 왜 발생하는가 - 중국과 인도 등 BRICs 국가들의 높은 성장률에 따른 원자재와 곡물 수입수요 증가 등이 원인으로 지목 되는 가운데 물가상승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가능성이 높음. - 미국 국내경기 부양을 위해 취해진 양적완화와 달러 공급이 달러가치의 하락을 가져옴으로써 달러표시 원자재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한편, 아시아 등의 신흥시장으로 자본유입을 가속화 시키면서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을 키우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음. - 결국, 글로벌 경제위기의 대응과정 등에서 나타난 파생적 불안정성의 문제로 대처가 쉽지 않을 것임. 4. 수입 물가상승 주요 수단, 환율 - 물가관리를 위해 안정위주의 정책 전환이 필요. 특히 수입물가 상승의 측면에서 환율을 하락시키는 것이 중요함. 5. 물가억제와 동시에 실질임금 개선을 고려해야 한다. - 나아가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소득개선을 위한 납품가 원자재 가격 연동이 실현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
'새사연 2014 > [칼럼] 김병권의 한국 사회의 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민가계 조여 오는 신용카드 대출경쟁 (2) | 2011.04.28 |
---|---|
저축은행 PF사태, 부동산 거품 붕괴의 신호탄? (1) | 2011.04.26 |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중소기업의 납품가격은? (0) | 2011.04.20 |
한국은 아시아와 동주공제(同舟共濟) 정신을 공유하는가 (0) | 2011.04.18 |
대기업과 산업생태계, 그리고 카카오톡 (1) | 201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