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된 논쟁-복지와 경제성장
이 기사는 논쟁적 토론을 야기했고 많은 전문가들이 토론에 참여했다. 매사추세츠 경제학 교수인 낸시 폴브레(Nancy Folbre)는 “복지여왕 덴마크(The Welfare Queen of Denmark)는 게으르지도 가난하지도 않다”라는 기사에서 레이건 시대의 프로파간다와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레이건은 대선 기간 복지여왕 이야기를 즐겨했다. ‘복지 여왕’이란 수십 개의 가명을 이용해 정부로부터 복지혜택을 받아서 캐딜락을 몰고 다닌다는 한 흑인 여성을 비꼬는 별명으로 복지로 인한 도덕적 해이와 노동의욕 상실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이 여성은 실존 인물이 아니었으며 레이건의 복지축소를 정당화하는 프로파간다에 불과했다. 지금까지 여론을 이용한 정치적 쇼의 대명사로 지적되는 사례이다. 저자는 수잔 데일리의 기사가 같은 시도를 하고 있다고 공격한다. 비도덕적이고 게으른 유색인종 여성이 정직한 사람들의 세금을 도둑질해간다는 이미지를 통해 신자유주의적 복지축소를 추진한 것이다.
이야기는 항상 같다. 복지는 사람의 노동의욕을 저하시키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며 사회의 활력을 저해한다. 하지만 낸시 폴브레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대학 경제학과 교수인 피터 린더트(Peter H. Lindert)는 뉴욕타임즈의 기사가 몇 가지 불확실한 통계를 통해 공포감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미국이나 복지지출이 낮은 다른 국가에 비해 25~55세 인구의 노동시간이 많음에도 연령을 고려하지 않은 통계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문제는 근로유인책의 부족이 아니라 고령화에 있다. 오히려 그가 공짜 점심의 수수께끼라고 부르는 현상은 북유럽의 높은 사회지출이 사회의 생산성이나 경제성장에 마이너스가 된다는 증거는 전혀 없이 더 많은 수명, 낮은 빈곤률, 더 투명한 정부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고령화는 세계 모든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며 이는 복지국가 축소가 아닌 시스템의 합리적 조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복지제도로 게을러진다는 것은 이데올로기적 공격을 통해 분노를 조장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꼬집는다.
낸시 폴브레는 노동시간 축소는 경기침체로 인한 일자리의 부족이 원인이며, 노동시간이 적다고 덴마크의 경제지표와 삶의 수준이 결코 낮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높은 한계 세율에도 덴마크의 GDP는 미국보다 높으며(미국 4만 8천 달러, 덴마크 5만 9천 8백 달러) 의료비용은 낮고 건강수준은 높다. 아동빈곤은 6.5%로 미국의 23.1%에 비할 바가 아니다. 경제위기의 타격을 동일하게 받았으나 잘 규제된 금융시장은 주택시장의 몰락을 막을 수 있었고 공공부채 역시 미국과 유럽 평균에 비해 낮다. 어떤 증거를 보더라도 덴마크가 경제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보고서 전문을 보시려면 위의 pdf 파일을 누르시면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